차량 점검·타이어 공기압 확인 요령

 

차량 점검·타이어 공기압 확인 요령

추석 연휴나 장거리 운전 전, 차량과 타이어 상태를 꼼꼼히 점검하는 것은 안전 운행의 첫걸음입니다.
간단한 사전 점검만으로도 돌발 사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최적의 연비와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래 가이드에서는 필수 점검 항목과 타이어 공기압 확인·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공식 포털 및 기관 사이트 링크도 함께 수록했으니, 실전 점검 전후에 참고하세요.


1. 출발 전 차량 종합 점검 체크리스트

  1. 엔진오일(엔진룸)
    • 눈금(LOW·FULL) 사이 유분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지 확인
    • 색상은 투명 갈색~갈색이어야 하며, 검거나 불투명하면 교환 시기
  2. 냉각수(부동액)
    • 냉각수 리저버 탱크의 MIN/MAX 양 표시 확인
    • 겨울철 동결 방지를 위한 점검 시, 50% 이상 혼합 비율 유지
  3. 브레이크액(Brake Fluid)
    • 투명~연한 노란색을 유지해야 하며, 갈변 시 교환 필요
    • 브레이크 반응 저하나 페달 밀림 현상 점검
  4. 배터리
    • 단자 부식(흰색 침전물) 제거 후 단자 체결 상태 확인
    • 3~5년 경과 시 용량 저하 가능성 높아 교체 검토
  5. 전조등·미등·브레이크등·방향지시등
    • 전구 점등 여부 확인 및 램프 내 이물질 제거
    • 야간·우천 주행 전 ‘전조등·미등 콤비네이션 점검’
  6. 와이퍼·워셔액
    • 블레이드 손상(갈라짐·닳음) 유무 확인
    • 워셔액 충분 여부 및 성능(유막 제거제 사용 여부)
  7. 에어컨·히터 필터
    • 공조기 필터 오염 상태 점검
    • 장시간 미교체 시 향균·탈취 필터 교체
  8. 서스펜션·스티어링
    • 주행 후 ‘푹 꺼진 느낌’이나 ‘좌우 흔들림’ 현상 체크
    • 쇼크업소버 오일 누유 여부 확인
  9. 타이어 마모·외관
    • 트레드 깊이(최소 1.6mm 이상) 및 편마모 유무
    • 사이드월(측벽) 갈라짐·볼록 튀어나옴 여부
  10. 비상용 키트
    • 삼각대·비상등·점프 케이블·소화기·구급약상자 등 구비

2. 타이어 공기압 확인의 중요성

  • 안전성 확보: 적정 공기압 유지 시 제동거리 단축, 급회전·급제동 시 트레드 접지력 극대화
  • 연비 개선: 공기압 부족 시 롤링 저항 증가로 연료 소모량 약 3~5% 상승
  • 승차감 유지: 과다 공기압 시 승차감 저하, 노면 충격 전달 증가
  • 타이어 수명 연장: 편마모·불규칙 마모 방지로 교체 주기 연장

3. 타이어 공기압 확인·조절 방법

3.1 준비물 및 사전 사항

  •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타이어 게이지
  • 공기압 주입기(주유소·정비소 이용 가능)
  • 차량 제조사 권장 공기압(운전석 문짝 부착 스티커 또는 취급 설명서 참조)
  • 측정 전 타이어 온도: 주행 직후는 부풀어 오르므로 주차 후 2시간 이상 경과 상태에서 측정

3.2 단계별 점검 절차

  1. 추천 공기압 확인
    • 경부하/만승차 시 앞·뒤 다른 압력 권장(예: 앞 32psi, 뒤 30psi)
    • 승합·화물차·SUV 등 차종별 공기압 값 별도 적용
  2. 게이지로 측정
    • 게이지 입구를 공기 주입구 밸브에 수직으로 밀착
    • 읽히는 압력 값을 메모 또는 눈으로 확인
  3. 공기 추가 또는 빼기
    • 부족 시 주입기 연결 후 천천히 주입, 과도 충진 주의
    • 과다 시 밸브 중앙 누름으로 공기 일부 배출
  4. 재측정 및 균일성 확인
    • 네 개 타이어 모두 동일 압력인지 재확인
    • 스페어 타이어도 동일하게 점검
  5. 밸브 캡 체결
    • 밸브 캡은 이물 유입 방지용이니 반드시 조여 놓기

3.3 공기압 수치 예시

차량 유형 앞바퀴 권장 공기압(ps i) 뒷바퀴 권장 공기압(psi)

준중형·소형차30–3228–30
중형·대형 세단34–3632–34
SUV·RV38–4036–38
승합차·화물차40–4238–40

4. 전문 설비 및 공식 점검 서비스

  • 자가 점검 vs 전문점 점검
    • 자가 점검: 휴게소·주유소 공기주입기 사용, 타이어 센터 방문 없이 간편
    • 전문점: 최신 타이어 체인저·밸런서·휠 얼라인먼트 장비로 정밀 검사
  • 정비소·서비스 센터 이용
  • 도로공사 휴게소 장비

5. 주행 중 이상 징후 및 긴급 대처법

  • 타이어 압력 경고등 점등 시
    1. 속도 20km/h 이하로 감속
    2. 안전한 갓길이나 휴게소 진입
    3. 휴대용 게이지로 즉시 측정, 공기 보충 또는 타이어 교체
  • 주행 중 ‘퍽퍽’ 소음과 진동
    • 편마모 또는 부풀어 오른 자리일 수 있으니 즉시 갓길 정차 후 확인
    • 양호하지 않으면 임시 스페어 교체 후 근거리 정비소 이동
  • 비포장·진흙길 통과 후
    • 사이드월 손상 여부 확인
    • 타이어 사이 이물질 제거, 재점검

6. 주기적 점검 주기 및 권장 스케줄

점검 항목 자가 점검 주기 전문점 점검 주기

타이어 공기압월 1회 이상 / 장거리 전6개월 또는 1만 km 마다
타이어 트레드 깊이월 1회 이상6개월마다
휠 얼라인먼트분기별1년 또는 2만 km 마다
브레이크액·냉각수분기별1년마다
배터리·전구 점검연 2회1년마다

7. 마무리 및 안전 운행 팁

  • 공기압 관리 앱 활용
    • 일부 타이어 제조사(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 등) 앱에서 예상 누유·점검 알림 기능 제공
  • 계절별 공기압 보정
    • 기온 하락 시 공기압 감소하므로 겨울철 1~2psi 추가 보충
  • 장거리 운전 전 2중 점검
    • 주행 전·후 이틀 간격으로 공기압 확인
  • 비상 시 연락처
    • 한국도로공사 콜센터: 1588-2504
    • 긴급출동(자동차보험 부가 서비스) 번호 미리 저장

안전한 차량 관리와 적정 타이어 공기압 유지로 쾌적하고 사고 없는 귀성·귀경길 되시길 바랍니다!


공식 사이트 모음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