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제품 패스포트(DPP)란? 기업 도입 사례 분석

 

디지털 제품 패스포트(DPP)란? 기업 도입 사례 분석

디지털 제품 패스포트(Digital Product Passport, DPP)는 제품의 원재료·제조·유통·폐기 단계별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기록·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EU가 2022년 이니셔티브를 발표하면서 2050 탄소중립, 순환경제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제품군에 DPP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1. DPP 개념 및 목적

  • 목적
    •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 단계 데이터 통합
    • 자원 순환 및 재활용 촉진
    • 공급망 투명성 확보 및 ESG 보고 지원
  • 기대효과
    • 불법 부품·가짜 제품 유통 차단
    • 소비자 신뢰 제고
    • 효율적 자원 회수와 비용 절감

이처럼 DPP는 자원 낭비를 줄이고 기업의 지속가능경영(ESG) 수준을 높이는 디지털 툴로 주목받습니다.


2. DPP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

  1. 제품 식별 태그
    QR코드·NFC·RFID로 구현해 스마트폰·스캐너로 즉시 이력 확인
  2. 데이터 프로토콜
    제품별 데이터 포맷(예: Trace4Value 프로토콜)로 표준화된 정보 교환
  3. 클라우드 플랫폼
    제조 이력·검사 리포트·위치 데이터·폐기 이력 저장
  4. 접근 인터페이스
    웹·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API 형태로 소비자·관계자 제공

이 네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제품 → 태그 스캔 → 전체 이력 조회”**가 가능해집니다.


3. 국내외 정책 및 규제 현황

  • EU: 2024년부터 전자제품배터리 등 주요 산업군에 DPP 의무화 법제화 진행 중
  • 중국·일본: DPP 프레임워크 초안 발표하고 시범사업 가동
  • 한국: IT·제조업계 중심으로 Digital Battery Passport(DBP) 시범 운영, 국내 배터리 패스포트 모델 개발 착수

EU에 이어 중국·일본·한국이 개발·운영 사례를 확대하면서, 글로벌 표준으로 발전 중입니다.


4. 주요 기업 도입 사례 분석

아래 표는 DPP를 실제 적용한 대표 사례 4건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기업/기관 적용 분야 도입 내용 주요 성과

ZVEI (독일)산업용 제어반 (PCF@Control Cabinet)PCF 프로토콜 기반 DPP 시스템 구축, 제품별 물리·디지털 이력 통합부품 이력 관리 자동화로 유지보수 비용 ↓
Trace4Value슬롯·콘택트 제조표준 데이터 프로토콜로 공급망 전 단계 추적가짜 부품 식별 가능, 공급망 투명성 강화
BatteryPass DBP리튬이온 배터리QR·NFC 태그 적용, 충전·재사용·재활용 이력 관리폐배터리 회수율 ↑, 재활용 공정 최적화
글로벌 리테일 (IKEA·Nike)가구·스포츠용품제품 포장에 DPP 태그 부착, 소비자·리셀러 포털 통해 제품 정보 제공소비자 신뢰도 상승, 반품 및 리사이클링 ↑

ZVEI는 2022년 전기·전자 제어장비 전시회에서 DPP 데모를 선보이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Trace4Value는 중소형 부품 제조업체에서 데이터 프로토콜을 통일해 DPP 플랫폼을 구축했고, BatteryPass DBP는 배터리 수명 주기 전반의 투명한 이력 관리를 통해 환경 규제 대응력을 높였습니다. 최근 IKEA·Nike 등 글로벌 리테일 기업도 DPP를 통해 제품 라이프사이클 투명성을 공개하며, 소비자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5. 도입 시 고려사항

  • 표준화 수준
    DPP 데이터 포맷·프로토콜을 업계 표준에 맞춰야 상호운용성 확보
  • 보안·프라이버시
    제품 사용자 정보 유출 방지와 공정 데이터 무결성 보장
  • 플랫폼 연계
    ERP·MES·SCM 등 기존 시스템과 API 연동성 검토
  • ROI(투자 대비 효과)
    시범사업→파일럿 운영→전사 확장 단계별 투자 계획

이슈별로 파일럿 단위 테스트를 통해 기술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디지털 제품 패스포트는 순환경제 전환과 ESG 경영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핵심 솔루션입니다. EU를 시작으로 글로벌·국내 기업들이 DPP를 앞다투어 도입하고 있으니, 자사 제품군 특성에 맞춘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해 보시기 바랍니다.

공식 정보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