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포용 문서 저장 시 편집 제한 비밀번호 적용 여부

 

(한글)배포용 문서 저장 시 편집 제한 비밀번호 적용 여부

한글의 “배포용 문서” 기능은 파일을 읽기 전용 형태로 배포하기 위해 제공되는 별도 저장 옵션입니다.
편집 제한 비밀번호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두 방법 중 언제 어떤 걸 써야 할지 아래에서 정리합니다.


1. 배포용 문서(.HWP)란?

  • 배포용 문서는 한글(HWP) 고유 형식 그대로 유지하면서
    읽기 전용으로만 열람되도록 저장하는 모드입니다.
  • 수신자는 한글 뷰어나 워드 프로세서에서 문서를 열 수만 있고
    내용 추가·수정·삭제가 불가능합니다.

2. 배포용 문서 vs. 편집 제한 비밀번호

구분 배포용 문서 저장 편집 제한 비밀번호 설정

열람 권한누구나 가능누구나 가능
편집 권한원천 차단 (별도 비밀번호 없이 에디트 잠김)비밀번호 입력 시만 편집 가능
형식 변경 여부HWP 형식 그대로 유지HWP 형식 그대로 유지
비밀번호 입력 단계없음[파일] → [문서 정보] → [보안] → 편집 제한에 입력
뷰어 요구사항한글 뷰어 또는 한글 설치 필요한글 설치 필요
  • 배포용 문서는 애초에 수정 기능이 아예 잠겨 있어 비밀번호를 따로 걸지 않아도 됩니다.
  • 반면, 일반 HWP 파일을 그대로 쓰되 “수정은 금지하고 싶을 때”는 편집 제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3. 배포용 문서로 저장해도 편집 제한 비밀번호와 같은 효과인가?

  • 사실상 같은 효과를 냅니다.
    배포용 문서는 그 자체로 모든 편집 기능을 잠그므로, 수신자 입장에서는
    “읽기만 가능 · 수정 불가” 조건이 편집 제한 비밀번호를 설정한 것과 동일합니다.
  • 단, 내부적으로는 다음 차이가 있습니다.
    • 편집 제한 비밀번호: 문서를 열 때 비밀번호를 묻진 않지만, 수정 버튼·메뉴가 비활성화됨
    • 배포용 문서: 문서 자체가 읽기 전용 포맷으로 저장되어 아예 수정 기능 자체가 사라짐

→ 배포용 문서는 별도 비밀번호가 필요 없는 대신, “뷰어 없이 열람 불가” 제약이 있으니
뷰어 설치 환경을 먼저 확인하세요.


4. 배포용 문서로 저장하는 방법

  1. 문서 편집을 완료합니다.
  2.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파일 형식’에서 [배포용 문서 (*.HWP)] 선택
  3. 저장 버튼 클릭
  4. 저장된 파일을 한글 뷰어로 열어 “편집 불가” 상태인지 확인

편집 제한 비밀번호를 추가로 설정할 필요 없이, 그대로 배포해도 열람만 가능합니다.


5. 언제 어떤 방식을 사용할까?

  • 배포용 문서
    • 불특정 다수에게 읽기만 허용, 뷰어 설치 환경 보장 시
    • 문서 포맷 호환성이 크게 중요할 때
  • 편집 제한 비밀번호
    • HWP 설치 유무를 따지지 않고, 업무망 내 배포 시
    • 문서 수정은 엄격히 통제하되, 내부 검토자에게만 편집 권한 부여할 때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