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파일 편집 제한(쓰기 금지) 암호 설정 방법 완벽 가이드
한글 편집 제한, HWP 암호 설정, 한글 쓰기 금지, 문서 보안, HWP 쓰기 제한
한글(HWP) 문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워드 프로세서 중 하나지만, 배포할 때 ‘읽기만 가능하고 쓰기(편집)는 금지’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공식 매뉴얼 URL도 포함했으니, 그대로 따라 하시면 보안 걱정 없는 배포용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공식 매뉴얼 링크
https://www.hancom.com/support/faqCenter/prdRgstInfo
1. 왜 ‘편집 제한 암호’를 써야 할까?
- 문서 무단 수정 방지
보고서, 공문, 제안서 등 최종 확정된 문서를 잘못 편집하거나 내용이 누락·변질되는 상황을 원천 차단합니다. - 통일된 배포 환경 구축
학교, 기관, 기업 등 내부/외부에 배포할 때, 수신자가 동일한 내용으로만 문서를 열람하도록 보장합니다. - 편의성과 보안의 균형
읽기 전용 PDF 변환보다 HWP 형식을 유지하면서 간편히 보안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내부 검토자 차별화된 권한 제공
편집 제한 암호를 해지해야만 수정 모드로 들어갈 수 있어, 승인된 검토자에게만 편집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2. 편집 제한 암호 vs. 읽기 전용 설정 vs. 배포용 문서
구분 읽기 전용 속성 설정 배포용 문서 저장 편집 제한 암호 설정
문서 열람 | 누구나 가능 | 한글 뷰어/한글 설치 필요 | 누구나 가능 |
문서 수정 | 윈도우 속성 “읽기 전용” 해제 시 수정 가능 | 애초에 편집 기능 자체가 제거됨 | 암호 해지 시에만 수정 가능 |
비밀번호 입력 단계 | 없음 | 없음 | [파일] → [문서 정보] → [보안] → 편집 제한 |
사후 암호 해제 가능 여부 | 속성 변경으로 가능 | 불가능 | 암호 입력으로 가능 |
- 읽기 전용 속성은 파일 탐색기에서만 제한하며, 한글 프로그램 내부에서 손쉽게 해제됩니다.
- 배포용 문서 저장은 HWP 포맷 자체를 ‘읽기 전용 모드’로 저장하기 때문에 더 강력하지만, 뷰어 환경 확인이 필요합니다.
- 편집 제한 암호는 암호를 모르는 사람은 한글 내부의 편집 도구를 전혀 사용할 수 없도록 잠그므로, 배포용 문서를 대체할 수 있는 간편한 보안 수단입니다.
3. 설정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준비 사항
- 한글 버전 확인
HWP 2007 이하 / HWP 2010 이상 설정 메뉴가 다르므로, 사용 중인 버전에 맞춰 따라 하세요. - 백업 파일 생성
암호 분실 시 복구할 방법이 없으므로, 설정 전 원본을 별도 폴더에 복사해 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암호 관리
사내 암호 관리 시스템(예: Bitwarden, LastPass)에 반드시 저장해 두고, 필요 시 승인된 담당자만 접근하도록 권한을 분배하세요. - 환경 테스트
한글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PC에서도 한글 뷰어만 있으면 열리지만, 쓰기 제한이 제대로 적용되는지 미리 검증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4. HWP 2010 이상에서 편집 제한 암호 설정하기
- 한글 문서를 열고 상단 왼쪽의 [파일] 탭을 클릭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문서 정보]**를 선택한 뒤, 오른쪽에 나타나는 [보안] 버튼을 누릅니다.
- 보안 옵션 창에서 [편집 제한]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합니다.
- ‘편집 제한 암호’ 입력란에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다시 문서 저장 대화상자에서 **[저장]**을 눌러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설정 완료 후 문서를 다시 열면, 편집 도구와 입력 커서가 모두 비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HWP 2007 이하에서 편집 제한 암호 설정하기
- 한글 문서를 연 상태에서 [파일] 메뉴를 클릭합니다.
- [보호] 또는 [문서 보호] → **[편집 제한 설정]**을 차례로 클릭합니다.
- 팝업된 ‘편집 제한 암호’ 입력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암호 확인 대화상자가 뜨면 동일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고 [확인] → [저장] 버튼을 눌러 마무리합니다.
이제 문서 내용을 열람만 가능하며, 쓰기나 서식 변경, 삽입·삭제 작업이 모두 잠겨 있습니다.
6. 암호 해제 및 재설정 방법
- 암호 해제: 설정 방법과 동일한 경로(보안 설정 창)로 이동 후, 암호 입력란을 빈 칸으로 두고 저장합니다.
- 암호 재설정: 기존 암호 입력 후 새 암호를 입력하면 바로 변경됩니다.
- 암호 분실 시 주의: 해제나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백업 파일을 준비하거나 사내 담당자에게 문의하세요.
7. 추가 보안 강화 팁
- PDF 변환 후 암호 걸기
HWP → PDF로 저장하면서 ‘문서 열람 암호’ 및 ‘편집·복사 제한 암호’를 동시에 설정하면, 거의 모든 뷰어에서 강력한 읽기 전용을 보장합니다. - 워터마크 삽입
문서에 워터마크를 넣어 불법 유포 시에도 출처를 남겨 추적 가능성을 높입니다. - 전자서명 활용
전자서명을 삽입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보안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 클라우드 공유 권한 설정
OneDrive, Google Drive, 네이버 웍스 등에서 ‘보기 전용’ 링크를 생성하거나 다운로드를 제한하여 온라인에서의 무단 배포를 최소화합니다. - DRM 솔루션 도입
스크린샷 방지, 인쇄 금지, 열람 기간 제한 등 기업용 문서 관리 시스템으로 최강의 보안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암호를 여러 개 설정할 수 있나요?
한글 자체 기능으로는 편집 제한용 암호를 한 가지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읽기 전용 암호와 쓰기 제한 암호를 동시에 설정하려면 PDF 변환 후 별도 암호를 걸어야 합니다.
Q2. 한글 뷰어만 있으면 암호 설정 문서를 열람할 수 있나요?
예. 한글 뷰어에서도 편집 제한 암호가 걸린 문서를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기능은 기본적으로 막혀 있습니다.
Q3. 암호 분실 시 복구 방법이 있나요?
한글 프로그램에는 암호 복구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반드시 백업 파일이나 사내 암호 관리 시스템을 활용해 원본을 복구해야 합니다.
Q4. 배포용 문서(.HWP)로 저장하는 것과 차이가 있나요?
배포용 문서는 원천적으로 쓰기 기능이 제거된 별도 모드지만, 뷰어 설치 환경을 확인해야 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편집 제한 암호는 기존 HWP 파일 포맷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쓰기만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9. 마무리하며
이 가이드를 따라 한글 파일에 편집 제한(쓰기 금지) 암호를 설정하면, 문서 무단 수정 걱정 없이 안전하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내부 검토자와 외부 수신자 간 권한을 명확히 구분할 때 유용합니다. 공식 매뉴얼(https://www.hancom.com/support/faqCenter/prdRgstInfo)도 함께 참고하시어, 현업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설정을 구현해 보세요.